6. 25전쟁 상황도 / 최초 상황, 낙동강 방어전선, 인천 상륙작전 이후 북진, 중공군 대공세, 휴전선인천의 지리적 조건 / 지금의 인천의 모습과는 많이 다라다. / 상륙해안이 해벽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 어려운 점이다.6. 25에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낸 인천 상륙작전, 낙동강 전선에서의 필사적인 방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해상 화력지원 계획에 의거 상륙작전 이전에 상륙지역에 대한 집중 사격을 사전에 진행했다.항공 화력 지원을 통해 상륙지역에 대한 적 방어시설에 대한 타격을 진행했다.팔미도를 지나 월미도를 통해 인천으로 진입하는 상륙작전 / 해상, 항공 지원을 통해 적 해안 부대를 섬멸, 상륙군이 상륙했다.미 항공모함을 포함한 UN군은 9월 14일 D-1 인천으로 집결한다.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한 한국군 전투 복장 / 박격포, 화염방사기한국군의 소총과 기관총LCM 상륙주정 / 상륙작전시 해안에 접안하는 함선상륙작전에 참전한 한국 해병대 전투복장인천상륙작전의 UN군 영웅들6. 25에 참전한 UN 동맹국들 현황 / 잊어서는 안될 국가들이다.인천 상륙작전이 9월 15일 진행됨을 통해 6.25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기념관 내 전시 되어 있는 인천 상륙작전 당시 모형도 (함선, 항공기, 적색, 청색 해안 등 인천의 모습까지 표현되어 있다)인천의 월미도와 뒤족의 인천의 모습이 보인다.화력지원함 / 함포가 인천쪽을 향해 포격을 진행하고 있다.적색해안, 녹색해안에 LCM이 상륙을 진행하고 있다.항공모함에서 출격한 항공기들이 사전 사격을 진행하고 있다.전시관 내 학도병의 편지가 전시되어 있는데. / 가슴 아픈 일이다.6. 25전쟁 당시 전투 장구류인천 상륙작전 당시 지도와, 현재 인천 해안 지역을 투사한 지도 / 청라지역은 대부분 매립되어 해안선이 많이 변경되었다.6. 25 전쟁당시 남북 비교한 내용인데, 생각보다 남한의 인구, GNP, 식량 생산량이 북한에 열위는 아니었다는걸 처음 알게됫다.HMG기관총 콘크리트 벽도 뚤어 버리는 기관총 / 화려한 휴가에서 등장하는 기관총자동 소총자유수호의 탑은 기념관 맨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인천상륙작전 영상관에 전시되어 있는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