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항해시대

코에이게임_대항해시대시리즈_④대항해시대 4(Porto Estado)

by 넥벤져스1984 2024. 10. 5.
반응형

대항해시대 4가 새로 HD버전으로 발매되었다.

 

단 두 가지의 게임 시리즈로 한국게임 시장에서의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코에이

그 인기있는 게임의 한축을 담당하는 대항해시대의 네 번째 시리즈 대항해시대 4는 

1999년 발매되었고 출시후 22년 만에 2021년 HD 버전을 출시했다.

 

대항해시대 4의 가장 큰 변화라면 전투 방식이 턴제에서 실시간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기존 대항해시대 시리즈에서는 헥사방식에서 턴제로 전투가 진행되었으나,

이는 보다 전략성 높은 전투를 펼친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게임의 박진감을 높여주지는 못하는 전투 방식이었다.

그러나 대항해시대 4에서 실시간 모드로 전투가 변화되면서

전투에서 자신의 부하들 (돌격대장, 표격대장, 부관 등) 배치 활용에 따라 

결과게 변경되는 경우가 많고, 돌격대장의 경우 큰 요소로 작용했다.

대항해시대 4의 함대전 전투화면과, 기함끼리 조우했을때 발생하는 일기토

 

또한 대항해시대 4의 가장 큰 변경점은 본함대를 제외한 지방함대를 편성할 수 있는 점이다.

동료 중에서 통솔력이 150 이상된다면 지방함대를 편성할 수 있다.

지방함대를 배치하여 전투를 진행할 수도 있고, 본함대가 없는 곳에서 모략, 교역을 진행하여

본함대를 대신하여 돈을 벌어주기도 한다.

또한 본함대의 함장으로 얻는 경험치보다 지방함대 함장으로 경험치를 더 얻는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는데 본함대에 있어야 아이템 발견 등의 이벤트가 진행되는데

지방함대 함대장으로 편성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를 볼 수 없다.

그리고 카스톨의 경우 클라우디오와 같은 필수 캐릭터들은 지방함대로 편성이 불가하다.

 

공식 홈페이지에서의 소개

 

대항해시대 3의 경우 모험 중심으로 높은 자유도를 부여한 반면

교역, 전투에 대해서는 연관성이 많이 떨어졌지만

대항해시대 4의 경우에는 모험, 교역, 전투가 중요해졌다.

이에 대한 특징으로는 해역별로 세력이 있고 해당 세력과 도시에서 점유율 싸움을 해야 한다.

함대로 전투하여 승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도시에서 점유율을 밀어내야

그 세력의 세력치가 없어져야 최종 승리가 가능하다.

모두 7개의 해역으로 나우 어진 대항해시대 4에서는 

각 지역 간 판매하는 품목이 상이하고, 물건시세, 특산물 교역을 최대한 활용하여

부를 축척해야 하며, 도시의 점유율에 따라 판매하는 품목의 수량이 정해져 있어

기존의 대항해시대 시리즈와는 상이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산물의 종류가 엄청 세분화 되었다. / 도시마다 판매품목은 최대 5품목이고, 수량은 점유유르 발전도에 따라 상이하다.

 

각 지역에서 세력치가 존재하는데 도시의 점유율과, 발전도에 따라서 변경된다.

무장도는 방어를 위해 필요한 부분이고, 체력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대항해시대 4의 또 다른 특징은 각 지역별로 패자임을 증명하는 패자의 증표의 존재인데

패자의 증표를 발견하고, 세력치가 낮은 세력에게 술집(참모)에서 위압을 통해

해당 세력을 자함대 산하 세력으로 편성이 가능하다,

산하 세력은 지방함대와는 조금 다르지만, 월마다 총자금의 1/100을 상납하며

강력한 함대를 보유한 하이레딘을 산하세력으로 편성한 경우

타 해역에 타 세력 도시를 공격함을 통해서 지중해에 해적을 동아시에에도 보낼 수 있다.

이런 플래이가 필자는 항상 재미있게 플래이 하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구루시마 해적집단을 하이레딘 해적집단과 전투하게 하는 방식이 

이 시리즈만이 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다.

 

대항해시대 3은 이벤트라고 할만한 것이 많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대항해시대 4는 주인공이 우선 7명이고, 주인공마다 이벤트가 존재한다.

약 250여 개의 다양하고 방대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그래픽적인 요소에서 256 컬러에서 16비트로 변경되었는데

HD버전에서도 그래픽은 엄청난 진보는 없었다.

하지만 대항해시대 4의 가장 큰 특징은 BGM과, 코에이 게임의 가장큰 특징인 일러스트

이 두 가지가 유저들에게 많은 인기를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