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임진왜란14

역사이야기_임진왜란_진주성전투 이후 조선의 공세 ① 진주목사 김시민 제1차 진주성 전투의 진주목사 김시민은 1554년 충청도 목천현(천안)에서 태어나1578년 24세의 나이에 무과에 급제하였다.1583년 이탕개의 난에서 출정 토벌하였으며, 그 공으로 훈련원 판관이 되었다.김시민은 1591년 진주판관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시진주목사 이경이 병사함에 따라 초유사 김성일의 명에 따라 그 직을 대리하였다.김시민은 진주목사로서 지리산으로 피난 갔던 군대와 성민을 안심시켜진주성을 보수하고 군사체계를 갖추며, 각종 무기를 준비하였다. 김시민은 진주에만 머무르지 않고 경상좌도의 지역을 대상으로 출병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진행한다.5월에는 사천을 점령하고, 진주를 침범하려 하는 일본군을 격퇴하였고6월에서 7월까지 고성에 있는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고사천, .. 2024. 10. 24.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조선 백성의 자발적 군대 조직(의병) ① 조선의 의병 일본군이 부산진성과 동래성을 함락하고 양산, 밀양, 언양, 김해, 경주 등 경상도 지역으로진출을 확대하고 있을 무렵 의령에서 곽재우가 4월 21일 거병했다.다른 의병 대장과 마찬가지로 곽재우도 자신의 재산으로 무기를 마련하고사노비 60여 명을 무장시킨 후 주민에게 호소하여 민병을 모집하고인근 고을 수령의 관군까지 합세하여 4,000여 명까지 늘어났다. 곽재우에 이어 5월 8일 합천에서는 정인홍이 거병하였다.인근의 성주지역의 관군과 의병까지 규합하여 약 3,000여명까지 늘었다.고령에서는 김면이 지역주민 700여 명을 이끌고 거병하였다.인근 고을에 격문을 보내어 고령과 거창 등지에서 2,000여 명이 모였다.진주에서는 허국주가, 함안군수 유숭인도 1,100기의 기병을 모았다. 충청도에서는 .. 2024. 10. 19.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일본의 점령지, 수군의 방어 ① 평양성 함락 6월 8일 임진왜란 발발 후 약 40일이 지난 시점에서제1 군인 고니시 유키나가는 평안남도 대동강변에 도착했다.1, 2, 3군에 제비를 뽑고, 1군은 선조를 추격, 2 군인 가토는 함경도 진출3군은 나뉘어져 시마지는 강원도로, 오토모는 황해도를 점렴중이었고3군 사령관인 구로다나가마사는 1군과 함께했다.1군과 3군은 평양성 진출까지 큰 전투 손실은 없었지만,부산진성, 동래성, 상주, 탄금대, 한양, 개성에서 전투를 치렀고이때 어느 정도 비전투 손실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평양성 전투에서는 윤두수, 유성룡, 김명원, 이원익 등이 평양을 지키려 했다.대동강은 임진강보다 더 큰 지류이며, 평양성 역시 당시 조선의 2번째 도성으로평양 사수를 위하여, 평안도에 있는 수령들은 병력을 보냈다.또한 .. 2024. 10. 17.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조선의 반격 ① 탄금대 패배 이후 수도 한양점령, 선조의 몽진 탄금대 전투에서 조선은 지방 군을 포함하여 중앙군까지 모두 잃어버렸다.선조는 왕의 호위 병력까지 신립에게 맡겼던 터라 수도 한양을 방위할 병력이 없었다.하지만 이 시기에 조선 조정은 별다른 대책이 없었다.개전 이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도 왜군의 숫자나, 얼마나 강한지에 대한 지식이 없고어떻게 병력을 징발하여, 적군에게 대항할 것 인지에 대한 대안이 없었다.우선 선조는 도원수 김명원에게 전권을 부여한 후 평양으로 떠난다. 하지만 일본군 역시 한양으로 북상하며, 전략적 오판을 저지른다.부산진성 전투 이후 조선군은 군대를 보내 저항했기 때문에수도 한양에는 대규모 병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1,2,3군이 모두 집결했다.그리고 수도 한양을 점령하면 전쟁이 끝날.. 2024. 10. 16.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대응 임진왜란 초기 일본군의 엄청난 진격 전의 뒷면에는조선의 무기력한 대응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전체적인 우리나라의 임진왜란에서 왜 패배할 수밖에 없었는지전체적은 전쟁 자체에서 왜 패배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봤고이번에는 왜란 초기에 조선이 어떻게 일본군의 침략에 대응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 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무기력한 대응 포스팅)https://sunrisepark1984.tistory.com/219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무력한 대응임진왜란이 발발하고 두 달 만에 평양성까지 함락됐다. 물론 일본군의 전략이 속전속공이기도 했고, 당시 조선에 대해서 파악하길 상비군이 부족하여 초기에 수도 한양을 점령하고, 조선의 왕sunrisepark1984.tistory.c.. 2024. 10. 14.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초기 일본군 공세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 초기 조선, 명나라 침략 전략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명나라 침략전략의 문제점을 알아보면 첫째, 일본군은 한양에 진격하여, 조선국왕으로부터 항복을 받으려고 했다.일본의 경우에 영주를 사로잡으면 전투가 종료되기 때문에본인들의 사고 방식으로 조선의 왕을 사로잡고, 조선군이 복종하면,주민들이 일본군에게 복종하고, 충성을 맹약할 줄 알고, 한양 공략에 약 5만 명을 동원했다.하지만 조선의 임금 선조는 백성을 두고 몽진을 떠났으며, 조선 백성들은 자신들을 두고 떠난 임금을 버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항쟁을 진행했다. 그래서 두번째 문제는 히데요시는 한양 점령 이후 점령군을 나눠 8도를 점령하려 했다.조선 8도를 점령하여, 병력과 병량을 충원하여 평양성에 집결하여조선을 넘어 명나라로 침략하려고.. 2024. 10. 13.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일본군_제 3군 (구로다 나가마사) 임진왜란의 선봉장 1, 2군을 선봉대로 나선 이후 통상적으로 3군까지는 선봉대로 보고 있다.3군은 부산에 상륙해, 김해 창원 창녕, 성주 금산 영동 청주로 향했고5월 7일 한성에 도달한다. 또한 황해도지역 (73만 석으로 평가) 담당을 맡았고조선왕인 선조를 쫓아 개성공략에도 참가했다. ① 임진왜란 일본 정벌 군 (제3대) * 총 병력수 : 11,000명* 구로나 나가마사 5,000명 / 부젠 / 125,000석(추정)* 오토모 요시무네 6,000명 / 분고, 부젠 / 370,000석(추정) 평양성 점령 이후에는 황해도 지역 정벌에 힘썼으며,7월 7일에는 황해도 해주를 공략했다.평화협정 이후에는 한강 이남으로 철수하고, 진주성 싸움(2차)에 합류한다. 먼저 구로나 나가마사의 경우에는 히데요시의 책사 구로다.. 2024. 10. 9.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일본군_제 2군(가토 기요마사)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제1군 고니시 유키나가와, 제2군 가토 기요마사를경쟁시키므로 인해서 보다 더 빠른 진군을 할 수 있게 했다.고니시 유키나가도 히고이고 지역의 영주였고, 가토 기요마사도 히고지역 영주였다.① 임진왜란 일본 정벌 군 (제 2대) * 총 병력수 : 22,800명 / 632,000석(추정)* 가토 기야마사 10,000명 / 하고 / 250,000석(추정)* 나베시마 나오시게 12,000명 / 히젠 / 360,000석 (추정)* 사가라 나가쓰네 800명 / 히고 / 22,000석(추정) 제2군은 1군보다 더 강력한 전투력을 가진 집단이었다.우선 주장인 가토기요마사도 도요토미 가문 내에서는 후쿠시마 마사노리정도를 제외하면최강의 무장 중 한 명이었고,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류조지 가문의 다이묘로 규.. 2024. 10. 7.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일본군_제 1군(고니시 유키나가) 조선통신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권의 교섭이 실패함에 따라1590년 11월 시점에서 전쟁은 필연이 되었다.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2년 3월 13일 약 16만 명의 군세를 9개 부대로 편성하여 조선으로 출병했다.그중 선봉대인 1대는 고니시 유니키가(소서행장)은 4월 13일 부산으로 향한다. ① 임진왜란 일본 정벌 군 (제 1대) * 총 병력수 : 18,700명 / 362,00석(추정)* 고니시 유키나가 / 7,000명 / 하고 / 200,000석(추정)* 소 요시토시 / 5,000명 / 쓰시마 / 20,000석(추정)* 마쓰우라 시게노부 / 3,000명 / 히젠 / 63,000석 (추정)* 아미라 하루노부 / 2,000명 / 히젠 / 40,000석 (추정)* 오무라 요시아키 / 1,000명 / 히젠 /.. 2024. 10.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