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욕심*
"욕심"이라는 말은 분수에 넘치게 무엇을 탐내거나, 누리고자 하는 마음입니다, 욕심은 지나쳐도 문제가 되고, 없어도 문제가 됩니다, 적당한 욕심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내가 품고 있는 장래 희망도 엄밀히 말하면 자신의 욕심을 말하는 것입니다, 우월 의식도 일종의 욕심인 셈입니다, 그런데 욕심이 지나치게 되면 탐욕이 됩니다, 우리 속담에도 "바다는 메워도 사람의 욕심은 못 채운다"는 말이 있습니다.

영국의 격언에 "최소의 욕망을 가진 자가 제일 큰 부자라, "고 하였습니다, 욕심을 줄이든지 아니면 없이 하여만 기쁨도 얻고, 즐거움도 얻는 줄로 믿습니다, 사상가 "존 밀턴"은 "마음먹은 너의 욕망을 억제하라, 그렇지 않으면 죄와 검은 심부름꾼인 죽음이 너희를 덮을 것이라, "고 말했습니다, 욕심은 나와 너, 인간관계에서 시기와 질투로 발전하게 되고, 욕심을 마음 안에 갖고 있는 사람들은 불평과 불만이 마음 안에 가득 자리를 잡게 되는 것입니다, 그 일로 자신도 불행하거니와 인간관계도 다 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삶의 화평을 원한다면 마음을 넓히고, 시기와 질투를 버려야 됩니다, 폭군으로 알려진 로마에 "네로" 황제는 시기와 질투가 많았습니다, 17살에 황제가 되었고, 31살에 자살해서 죽었습니다, 그는 어머니를 죽였고, 아내도 죽였습니다, 원로원의 많은 사람들도 죽였습니다, 혼자 모든 것들을 누리려고 하니까, 의심하게 되고, 미워해야 되고, 모두를 공격하는 정치를 일생 동안 하다가 결국에는 자살을 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나라에 역사를 보면은 민비, 장희빈, 시기심으로 멸망한 것입니다,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감사를 해야 할 텐데, 너무 욕심으로 말미암아 임금의 아내가 되었어도 만족이 없는 것입니다, 시기 질투로 인해서 결국은 자신이 죽게 되는 것입니다, 자신도 결국 망하는 것입니다,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통치한 기간은 12년 8개월이었습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다 점령하고 모두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헬라 문명 아래 모두를 두고 헬라어와 헬라 문화아래 전부를 다 품었던 사람이 알렉산더입니다, 그가 죽은 다음에도 헬라 문화가 아직까지도 전 세계를 다 덮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쓰고 있는 문화 가운데도 헬라 문화가 다 들어와 있는 것은 바로 알렉산더의 그릇이 크기 때문입니다.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오늘 우리나라 안에 동서가 하나 될 수가 없다고 해도, 누군가 넘어설 수 있는 마음을 갖고 있으면 얼마든지 다 넘어설 수 있는 것입니다, 유럽도 공동체로 하나를 만들었는데 우리들은 너무도 작은 땅인데 하나를 만들지 못하고 언제까지 이렇게 가야 하는 것입니까? 이런 우리 문제는 지도자들이 욕심을 버려야 됩니다, 우리 국민들이 욕심을 버려야 됩니다, 이만큼 살게 된 것을 감사할 줄 알아야 됩니다, 욕심을 버리고, 서로 손을 잡고, 화합하여서 함께 살아가는 날들을 만들어야 됩니다.
'오늘의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묵상_20250210_미소가 주는 삶의 반전 (11) | 2025.02.10 |
---|---|
오늘의묵상_20250209_밀라드 풀러의 삶 (10) | 2025.02.09 |
오늘의묵상_20250207_세상에 공짜는 없다 (12) | 2025.02.07 |
오늘의묵상_20250206_리더십은 중요하다 (15) | 2025.02.06 |
오늘의묵상_20250205_분노를 조절하라 (12)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