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한국사

역사이야기_한반도의 방파제 고구려와 수의 경쟁

by 넥벤져스1984 2024. 11. 2.
반응형

한국 역사상 가장 강성한 제국이라고 칭하는 국가는 항상 고구려이다.

한반도의 한강 이북지역을 포함하여, 만주지역까지 통치한 고구려는

한국의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통치하며, 가장 강대한 국가라고 알려져 있다.

고구려의 영토와 현제의 지형 지도

 

① 6세기 중국 대륙의 통일을 이뤄낸 수나라

 

고구려는 중국의 북쪽에 위치한 왕조들과 항상 경쟁하였으며

요하를 경계로 하여 요동지역을 통치했고 지금의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지역을 통치했다.

물론 현제의 흑룡강성 우측으로 발해가 통치한 지역은 당시에는 산악지형으로

당시의 교통환경을 고려했을 때 직접적인 통치범위를 넘어갔으나

고구려의 영향력이 없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고구려는 4세기부터 6세기까지 동아시아에서 강성한 국가였다.

당시 동북아시아의 질서는 고구려와 북방 중국국가 간의 경쟁이 진행되었고

중국의 북위와 경쟁하며, 성장하였지만 6세기 북위가 동위, 서위로 분열

북제, 북수를 거친 끝에 수나라도 통일된 중국을 맞이하게 된다.

 

수나라의 통일 이전에도 고구려와 북쪽의 중국 국가간의 경쟁이 진행되었으나

고구려의 인구를 포함한 국력으로는 대륙으로 나가기 힘들었고

북위 역시 고구려를 복속시키기에는 부담이 있었다.

왜냐하면 항상 남쪽과 서쪽에는 경쟁국가가 있었고, 중국이 통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나라가 등장하면서 동북아시아의 상황은 많이 바뀌게 된다.

수나라의 통치 영역과 / 남북을 이어주는 운하의 건설

 

② 급변하는 동북아시아의 정세 (6세기 후반)

 

중국대륙을 통일한 수나라의 첫 번째 경쟁자는 북방의 돌궐이었다.

돌궐은 수나라의 북방에 있으며, 현재 몽골지역을 포함하여, 중앙아시아의 평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국가였으며, 통일된 중국국가와 항상 경쟁하는 세력이었다.

수나라는 돌궐내 분열을 이용하여 권력투쟁을 부추겼고,

이를 틈타 동서로 분열된 돌궐을 공격하여, 동돌궐을 굴복시켰다.

 

수나라의 중국대륙 통일과 돌궐에 대한 정복활동으로 고구려는 충격에 빠졌다.

이제까지 남북조 분열구조 위에서 전개하여 온 등거리 외교 전략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고구려는 수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대비책을 강구해 갔다.

중원의 통일과 최대 적수인 돌궐까지 국복시 킨 수나라는 고구려를 압박했다.

 

수가 강경한 태도로 위협적으로 다가오자 고구려는 수와의 교섭을 재개하였다.

하지만 양국은 각자 제 갈길을 가고 있었고, 고구려는 동북아의 세력권을 재건하고 있었고

수나라는 자국 중심의 국제질서 개편을 추구하고 있었다.

한반도의 다른 국가였던 백제는 수나라와 적극적으로 교섭에 나섰고

신라는 7세기에 이르러서 고구려 정벌을 청하는 등 수와의 교섭을 진행했다.

 

③ 고구려의 요서 침공

고구려와 수나라강의 전쟁 (고수전쟁)

 

고구려에 영양왕이 즉위한 이후 598년 요하를 건너 수를 선제공격한다.

하지만 여기서 출정한 영양왕은 고구려 군을 이끌고 출전한 것이 아니라

말갈군사 1만을 이끌고 요하를 건넌다.

하지만 이 사건은 고구려가 통일된 중국을 침략한 사건이지만 별다른 기록은 없다.

그리고 이 충돌은 국경에서 일어난 작은 충돌로 볼 수도 있겠지만

수나라 문제는 이 사건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고구려의 국왕 영양왕이 직접 친정했다는 점을 두면 수나라 중심의 국제질서 재편이 어렵다 판단했는지

수 문제는 군사동원령을 내리고, 요서로 출격한다.

수 문제의 598년 요서 출격은 장차 70년간 중국과 고구려의 대결이 시작되는 사건이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의 행렬도 (안악 3호분) / 수문제의 초상화

 

④ 고구려의 군사력

 

고구려가 통치하는 만주지역은 만주평야 지역의 곡창지대이며,

당시시대의 최대 자원인 철의 최대 산지였다.

많은 철을 활용하여, 고구려는 개마무사 (철갑기병)을 운영하였으며

기병 외에도 다양한 보병 (도끼병, 궁병, 검병)이 존재했으며, 강성한 군사국가였다.

 

고구려는 수나라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고, 수나라와 고구려와의 전쟁읠 불길이 일어났다.

고구려의 대표적인 무기 고리자루 큰칼
고구려의 개마무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