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묵상

오늘의묵상_20250504_깨닫는 것이란 것을

by 넥벤져스1984 2025. 5. 4.
반응형

*깨닫는 것이란 것은*

깨닫는다는 것이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깨달음에 대한 정의를 내렸지만 그중에 미국의 철학자이고, 작가인 "앨런 왓츠" 말이 가장 마음에 와닿습니다, 깨달음은 마치 양팔 저울 추가 아슬아슬한 균형을 이루다가 한쪽의 무거운 것이 올려짐으로 인해서 그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진 것 같은 순간적인 경험이다, 이쪽이 무거운가, 저쪽이 무거운가, 이것인가, 저것인가, 그러다가 눈에 확 띄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순간이 바로 깨닫는 순간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삶의 깨달음은 복입니다, 삶의 깨달음은 힘입니다, 삶의 깨달음은 유익을 줍니다, 깨달음이 행동화가 되면 새로운 것들을 창조합니다.


사업가의 깨달음은 어려웠던 회사를 살리기도 하고, 좋은 제품들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동현"교수는 그의 책 "깨달음이 있는 경영에서" 100까지 거창한 기법보다 한 가지 소박한 깨달음이 위기에 빠진 기업을 살린다고 말했습니다, 과학자들의 깨달음은 발명품으로 형상화되어 인류에게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미술가들의 깨달음은 작품으로 형상화되어 보는 사람들의 사고를 자극하여서 정서를 순화시켜줍니다, 음악가들의 깨달음은 선율이 되어서 귀를 호강하게 하고 종교인들에 깨달음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게 하고, 영혼에 만족감을 누리게 합니다.

깨닫는 것은 우연의 산물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만 않습니다, 사전에서 보면 깨달음이란 생각하고, 궁리하다가 알게 된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듯이 깨달음은 생각하고 궁리하다가 발견하게 되는 진리입니다, 우리들이 일상에서 말한 것 같이 행하다가 보면 실제로 이루어짐을 봅니다, 우스운 이야기지만 깨와 소금을 섞으면 깨소금이 되지요, 또 깨와 설탕을 섞으면 깨달음이 탄생합니다.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로 과학혁명에 가장 큰 공헌을 세운 "뉴턴"은 사과와의 만남을 통해서 우연인 것 같지만 과학의 신비인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게 됩니다, "스티브 잡스"와 컴퓨터 기업 애플과의 만남이 세상을 바꿨으며, 징비록을 쓴 유성룡과 이순신과의 만남은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에서 나라를 구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들 모두는 예배를 통하여서 예수님을 만나서 이 세상 삶의 행복의 원리가 되는 감사와 사랑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사람의 인생길에는 수많은 만남 속에 깨달음들이 있습니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우주의 섭리를 깨우칠 수도, 스치는 바람에도 계절의 원리를, 서로 나누는 악수에서도 사랑을  깨닫습니다, 세상 속에 모든 것들 안에는 존재의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들이 잠시 살다가 떠나게 되는 이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하나님의 자녀 된 자로서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대로 주어진 삶의 감사하고, 이웃들을 사랑하며, 나누고, 베풀고, 죽음 뒤에 있게 되는 심판의 결과인 천국, 지옥을 알려 주고, 행복하게 살아야 합니다, 이런 일들을 이  시대와 내가 만난 모든 문제들을 통하여서 깨달음이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