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진왜란14 서울투어_용산 전쟁기념관 (전쟁기념사업회)_고대전쟁 아이와 가볍게 방문하기 좋은 용산 전쟁기념관지난번에는 실외 전시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했고,이번에는 내부에 있는 고대 전쟁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전시관을 살펴보려고 한다.역사에서 전쟁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롭고,누군가에게는 슬픈 이야기지만, 한 번쯤은 꼭 방문하여우리 나리의 전쟁사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며, 역사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아이에게나, 어른에게나 좋은 경험이 되는 것 같다. (▼용산 전쟁기념관 실외 전시 포스팅)https://sunrisepark1984.tistory.com/352 서울투어_용산 전쟁기념관 (전쟁기념사업회)_실외 전시초등학생 아이아 함께 가볼 만한 좋은 장소!용산에 전징기념 사업회 전쟁기념관남자아이든 여자아이든 우리나라의 전쟁의 역사를 다 관람하기 좋은 곳이다.역사를 .. 2024. 8. 14. 역사이야기_임진왜란을 일으킨 풍신수길은 누구인가? 우리나라는 일본과의 사이가 굉장히 좋지 않다. 물론 세계사에 있어서 인접한 국가 간의 사이가 안 좋은 경우는 많다. 폴란드는 독일과 사이가 좋지 않으며, 베트남도 중국을 좋아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역시 일본의 강제 지배 36년 포함하여 임진왜란까지 철전치 원수로 삼는 나라가 바로 일본이다. 일본은 우리나라를 고려시대때부터 꾸준히 약탈을 했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전에도 통상을 제한하면 해안지역 약탈을 일삼았다. 다만 대규모 침략전쟁은 진행되지 않았는데, 1592년 일본은 조선을 대규모 병력으로 침략하게 되고 그 중심에는 일본을 통일한 풍신수길(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37년 오와리 지역에서 출생하며 당시 오와리 지역은 오다가문이 통치하던 지역이었다. 그의 .. 2024. 7. 4. 역사이야기_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무력한 대응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두 달 만에 평양성까지 함락됐다. 물론 일본군의 전략이 속전속공이기도 했고, 당시 조선에 대해서 파악하길 상비군이 부족하여 초기에 수도 한양을 점령하고, 조선의 왕을 사로잡기 위해 수도 한양까지 무조건적인 돌격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일단 일본의 진격로를 살펴보면, 사전에 정찰을 많이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부산에서 한성까지 진격함에 있어서 최단 루트로 진격했다. 당시에 조선의 도로망이 굉장히 제한 적이었고, 일본은 한양까지 약 15일 만에 진출한다. 당시에 도하장비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수송용 장비들도 존재하지 않았고 몽골군처럼 기마병도 아닌, 아시가루(족경) 보병이었다. 조선군은 임진왜란 초기에 왜 이렇게 무기력하게 무너졌을까? ① 조세 제도에 붕괴에 따른 방어체계 무너짐 훈구 .. 2024. 7. 3. 역사이야기_임진왜란이 시작된 배경② (조선, 일본 생산력) 토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는 전국시대를 통일한 후 각 영주들에게 영지를 배분하기 위해 각 지역별 생산력(석고) / 식량 생산량 일본은 당시 1,850만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보통 1만석당 병졸 250명으로 계산하여 총 462,500명의 병력 운용이 가능하다고 계산이 된다. 일본측 기록에 따르면 조선 1차 출병에 약 17만명 수준의 파병을 진행했다 17만명은 당시 기록으로 확인해볼때 680만석에 해당하는 병력으로 큐슈 (239만), 시코쿠(78만), 주코쿠 (175만) 병력이 대부분 출정한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일본군의 진영편성도큐슈, 시코쿠, 주코쿠 세력으로 편성되어 출병했다. 토요토미의 통일 이후 시마즈를 정벌하여 시마즈 가문은 사쓰마 지역한정으로 축소되었고 호조 가문을 축출하여 덕천가강(도쿠가와.. 2024. 7. 2. 역사이야기_임진왜란이 시작된 배경 ① (풍신수길, 선조 / 조선, 일본 국력비교) 임진왜란은 1592년 조선이 건국된 지 약 200년 뒤에 시작된조선과 일본 간의 전쟁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에서의 당시 동아시아에 상황에 대한 평가는 조선과 명에는 박하고일본에는 굉장히 후하게 평가되고 있다.물론 명은 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강국이었고, 군대만 약했을 뿐경제적으로는 세계에서 부족하지 않은 국가였고,조선도 세계적으로 약한 국가는 아니었지만, 주변국인 일본, 명이 강국이었다. 선조(3)와 광해군(7)의 능력치는 낮다.그런데 세계적 정복군주 티무르가 (18로 가장 높다),당시 일본이 전국시대임을 감안하더라도, 도쿠가와(16), 모가미요시아키 (16), 난부 (12)도요토미히데요시(16), 마에다토시이에(14), 타 테마사무네 (14)....해당게임에서 조선 최고의 군주인 세종이 (16)으로 되어.. 2024. 6. 3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