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리즈 통산 8회 우승에 빛나는 한국 프로야구의
대표 명문구단 삼성라이온즈의 구단 운영은 어떻게 되고 있을까?
물론 키움히어로즈처럼 자생적 구단 운영을 하는 구단도 있지만
모 기업의 지원들 받아서 운영하는 구단도 있어서
삼성라이온즈의 구단 운영현황을 살펴보면서 키움히어로즈와 비교해보려고 한다.



삼성라이온즈의 2023 시즌 매출은 총 744억이다.
키움히어로즈가 641억인데 비하면 삼성라이온즈의 매출은 더 높다.
키움히어로즈의 2023관중수는 583,629명이고, 삼성라이온즈는 845,775명이다.
키움의 운동장 수입은 95억으로 16,400원/명 정도의 수익을 내고 있고
삼성은 17,835원/명 정도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구단마다 구장운영 수입을 위탁운영하느냐, 위탁하면 수수료율을 어떻게 책정하느냐에 다르겠지만
입장권 포함 약 17,000원정도 소비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올시즌 삼성의 관중이 100만을 넘어 약 120만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200억 이상의 입장, 구장운영 수입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광고수입이 총 370억인데. 삼성 계열사 광고금이 302억이고
사업수입은 206억 중 60억이 삼성계열사에서 발생한 수익이다.
광고는 라이온즈파크 포함 유니폼 등 스폰서 비용으로
키움히어로즈가 180억 수준이고, 삼성라이온즈가 키움보다 관중수도 많고
구단의 가치도 더 높게 평가되기 때문에 구단내 광고를 안 하더라도 약 230억 수준으로
광고계약을 체결할 수 있지 않나 생각된다.
또한 키움히어로즈의 네이밍 스폰서 비용이 110억이기 때문에
삼성라이온즈는 네이밍 스폰서 비용으로 150억 정도는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하여 370억 중 70억 제외 180억은 외부판매로도 가능하고, 구단내 지원금은 120억 정도로 추산된다.
사업수입은 구단마다 계정항목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나.
KBO 중계권료로 약 76억 정도 배부된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수익 외에도 구단내 지원사업비 + 중계권료 외에도 60억 정도 추가 사업 수입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임수수입과, 이적료 수입은 기타 수입으로 해당내용은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부분인 것 같다.

선수단 운영비는 키움히어로즈가 302억 원이었으나, 456억 수준으로
키움보다 선수단 연봉, 출전비, 경기진행비에서 더 많이 소요되는 것 같다.
사업수입원 가는 레포츠센터 운영 위탁 비용으로 추정된다. / 구단버스 운영 포함으로 예상

판매관리비용은 구단 임직원 급여 포함 운영비용으로
키움히어로즈가 99억 수준이라 삼성라이온즈 이 107억은 많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삼성라이온즈는 작년과 재작년 약 3억 수준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미처리 결손금이 43억으로 코로나 시기의 적자가 있었어서 여전히 적자기업으로 추정되고,
3억이라는 숫자도 흑자로 만들어진 부분이 아닐까 생각된다.
(▼ 키움히어로즈의 구단 운영)
https://sunrisepark1984.tistory.com/2
야구이야기1_키움 히어로즈는 어떻게 자생 운영을 하는가?
국내 프로야구 구단은 10개 구단10개 구단 모두 모기업의 지원을 받으며 선수단을 운영하고 있다.국내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모기업의 지원이 없는 서울히어로즈(키움히어루주는) 어떻게 구단을
sunrisepark1984.tistory.com
키움히어로즈와 비교해 볼 때 모기업의 지원이 없더라도
자생을 위해서 노력한다면 삼성라이온즈도 충분히 운영가능할지 않을까 생각된다.
키움보다 관중수입이 55억 정도 높고, 지역색이 강한 프로야구에서
지역 스폰서십을 구축한다면, 광고비도 키움보다 100억 수준 더 가능해 보인다.
또한 중계권료로 연간 100억 정도 수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 500억은 수입으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FA영입을 키움히어로즈처럼 축소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키움처럼 흑자 경영도 가능하나, 10 구단 전체가 키움처럼 운영한다면
한국 프로야구 시장은 더 위축될 것으로 보여, 각 구단별 역할이 있는 것 같다.
키움히어로즈는 선수를 육성하여 국내외 구단에 선수 판매를 통해 수익을 내는 구단이고
삼성라이온즈는 삼성의 마케팅적인 측면과 더불어서
대구 / 삼성 팬들에게 우승이라는 성적을 내기 위해 투자하는 구단으로
두두 단의 방향성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삼성라이온즈도 키움처럼 충분히 자생할 수 있을 것 같고
한국 프로야구 시장의 규모가 더 커지는 것으로 보이고
역대급 흥행으로 인해서 선순환이 되길 기대해 본다.
'야구이야기 > 야구구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구단_현대유니콘스⑪2006시즌 (33) | 2024.08.24 |
---|---|
야구이야기_2023시즌 우승팀 LG트윈스의 수익구조 (66) | 2024.08.21 |
한국프로야구_고척스카이돔_방문기 (85) | 2024.08.16 |
KBO구단_현대유니콘스⑩2005시즌 (133) | 2024.07.14 |
KBO구단_현대유니콘스⑨2004시즌 (배영수 노히트 포함) (116)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