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하는 훈련*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여러 가지 습성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그중에서도 반복하는 습성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갓난아이 떼는 배고프면 울고, 배부르면 자고, 하는 것들은 모두가 반복하는 습성으로 귀착되기 때문입니다, 어떨 때에는 반복되는 세상 일이 단조로 웁고, 권태스럽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반복하는 것이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구분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담배를 피우는 반복을 계속함으로 인하여서 건강을 해치는가 하면, 남의 물건을 슬쩍 한번 훔친 것이 반복이 되다 보면 도둑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들 주변을 보면 나쁜 반복이 엄청난 부작용을 낳습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유익을 주고, 이웃에게 유익을 주는 습관을 반복한다면 엄청난 생산성을 유발하고 사회에 보람 있고 활기찬 사람으로 인정받을 것입니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석학이며 화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계란을 수없이 많이 그렸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까? 계란과 같이 보잘것이 없는 것이지만 몇 백번, 몇 천 번을 그림으로써 그와 같은 위대한 화가가 탄생한 것입니다, 그의 계란 그림은 곧 그의 열정과 집중력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잔 재주가 많은 사람들이 크게 성공을 한 사람들이 있습니까? 아니면 한곳에 집중적으로 열정을 쏟아붓는 사람들이 크게 성공을 하였습니까?
많은 사람들은 안타깝게 도 성공한 사람들이 누리고 있는 환호와 꽃다발과 박수소리, 그리고 경제적인 혜택으로 풍요를 누리고 있는 그분들을, 시기와 부러움의 눈으로 바라볼 뿐이지 실제로 이 사람들이 그것을 얻기 위해서 피나는 노력과 땀과 눈물로 뒤범벅이 된 오랜 세월과 인내는 잘 생각을 해보지를 않습니다, 그들 중에는 아주 허름한 지하 단칸방에서 하루, 하루, 먹을 끼니를 걱정할 만큼 고달픈 삶에서 배고픔을 이겨낸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분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물론 각 사람의 따라서 여러 가지의 이유가 있었겠지만 공통적인 사항은 열정을 한 군데에 집중할 줄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오늘날 세계적인 초 일류기업이라는 불려지는 삼성은 기업 총수에 고뇌와 열정은 그가 한 말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취임 5년 되던 해에 "마누라 자식 빼고는 다 바꿔라, " 이 말은 성공을 하기 위해서 모든 역량을 한곳에 집중하라는 말입니다, 여기에 대해서 세게 적인 대학, 미국에 "하버드"에서는 이렇게 말을 하였습니다.

“당신의 쉼 없는 힘과 열정을 한 지점에 집중을 시키면 씨앗이 싹이 터서 자라듯이 하루, 하루가 성장을 할 것입니다, 이렇게 해야 공부하는 것만큼 발전할 수가 있으면서 세계를 이끌어 기는 인재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목표한 것을 이루어 낸 것에 만족함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이루지 못한 것들을 실패로 여기지 마시고, 내생이 존속하는 한 아직도 목표가 끝난 것이 아님을 생각하면서 우리들은 자신의 열정과 힘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지혜를 길러야 한다는 것을 마음에 두고서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는 반복과 전진을 하다 보면 머지않아서 좋은 결과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지금 살아 있는 것이 기회가 있다는 것입니다, 머뭇거리고 핑계를 대면서 포기하지 마시고 힘을 내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묵상_20250104_준비하고 기다리자 (25) | 2025.01.04 |
---|---|
오늘의묵상_20250103_나의 삶 (23) | 2025.01.03 |
오늘의묵상_20250101_다시 시작하자 (36) | 2025.01.01 |
오늘의묵상_20241231_무조건 용서 (14) | 2024.12.31 |
오늘의묵상_20241230_한해를 마치면서 (17)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