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이야기/삼국지토탈워

삼국지토탈워_도시내정_연합(제국)세력

by 넥벤져스1984 2025. 4. 19.
반응형

천하통일에 다가가면 레벨은 9에 근접하며, 초반에 인물경험 버프에 따라 10까지 가능하다.

유비의 경우 결의, 권위가 100을 넘었다 / 쌍고검, 유비갑옷, 옥새
도시의 경우 대부분 인구 300만을 넘으며, 턴골드가 단양은 만에 육박하고, 5000을 넘는 도시가 수두룩하다.
촉한의 특장은 단결로 인해 +3의 태수효과로 12명까지 태수 임명이 가능하다.

 

물론 개혁트리를 열어서 태수직 추가 임명도 가능하지만, 다른 테크트리도 오픈해야 되기 때문에

12명의 태수 기준으로 도시를 운영했다.

초기에 주둔지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식량이 필요하여, 식량 추가를 위한 태수도 임명하고

태수는 대부분 책사, 감시자 위주로하여 턴골드를 극대화했다.

211년 기준 / 턴골드 30만에 육박하고 / 농업, 상업, 산업순이다.

 

세금 수준을 낮추지 못하는 이유는 식량의 수급을 위해서 세금수준을 올려야 정착지 고렙이 가능하다.

단양은 경우에 따라 턴골드 만을 넘길 수도 있다.

 

인구가 300만을 넘으면 건물 건설에 -5 효과가 부여되고,

모든 수입에 추가효과도 붙는다 / 결국은 인구가 늘어야 건물도 빨리 짓고 수입도 늘어난다.

그리고 수입이 높더라도 부패도가 높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부패도 관리를 해야 한다.

 

[인구 늘리는 방법]

세력회의에서 농업경제 집중을 채택한다.

태수를 임명하고 (아이템에 인구성장을 넣어준다)

개혁트리에서 맨 밑에 인구성장 농업경제 위주 개혁트리를 업그레이드한다.

농업경제 집중을 채택하면 인구성장 +1만, 농업수익이 극대화된다.

 

[부패도 관리하는 방법]

개혁트리에서 부패(-) 있는 개혁을 선택한다.

도시에 대형화폐주조소를 설치한다.

구리광산에 구리화폐 주조소를 설치하면 낮출 수 있다.

개혁트리를 통해서 부패도를 낮출 수 있다. / 대형 화폐주조소를 지어 부폐도를 낮춘다. / 구리광산에 구리화폐주조소를 설치한다.

 

구리광산은 전 도시에 효과라 효과 자체는 4% 낮지만 구리화폐주조소를 짓기 위해 개혁트리를 타면

화폐주조까지 테크를 타야 되는데 이게 좀 비효율적이고, 화폐주조에도 -8%가 있어서 부패도 관리에는 좋다.

 

[건물배치 순서]

 

1. 국립공방 (부패도 -15%, 인접현, 산업수입 300)

2. 촉한징세소 (농업수입 260) / 건설 시 골드가 소모되지 않음.

3. 토지개발 (식량 +5, 농업수입 150, 인구증가 2.4만)

4. 정부지원 (농업수입 +50%, 식량생산 +150%)

5. 여관 (상업수입 250, 상업수입 +80%)

6. 개인공방 (상업수입 +190%, 산업수입 +40%)

 

정착지는 식량이 되는대로 4(건물부지 3), 5(건물부지 4), 7(건물부지 5), 8(건물부지 6) 순으로 짓는다.

한도시만 10 만든다고 좋은 게 아니라 전체 도시가 4, 5, 7, 8 순으로 다 올라갈 수 있게 식량을 배분한다.

정착지 8 레벨은 도시인구 300만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인구가 막히는 도시부터 

9, 10으로 정착지 승급을 하면 인구수가 늘어나 수입이 늘어난다.

 

이게 세력마다 건물테크트리는 다른데 유비의 경우 촉한징세소가 농업수입 260으로 높고,

건설할때 돈이 들지 않기 때문에 정말 꼭지어야 하는 건물이다.

토탈워 초기에는 공공질서 - 패널티가 있었지만 추후 패치를 통해 공질 마이너스가 없어지며 최고의 건물이 되었다.

정착지 10이되면 상업수입 +150%로, 9(75%), 8(50%)로 차이가 나는데

식량 소비되는 양을 생각하면 매리트가 크지는 않다.

그래도 상업위주의 도시나, 인구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도시는 정착지 업그레이드를 통해 수입을 늘린다.

수입이 낮은 도시는 부패도가 높은지 확인이 필요하다. -22부패도에서는 22% 수입이 감소한다.
관문을 업그레이드 해도 수입이 올라간다. (인접현 +65%)

 

후반으로 가면 돈이 상당히 많이 남게 되어 이거저거 다찍어 볼 수 있는데

관문 업그레이드에는 식량이 소모되지 않으니 꼭 찍도록 한다.

하지만 비용대비 효율은 낮은편이라, 후반에 업그레이드 해야한다.

 

하지만 부대를 21개부대 최고 높은 효율의 병사를 사용하고,

인물을 100여명 이상 고용하더라도, 10만이상의 골드를 소모하기는 어렵다.

하여 10만이상의 수입이 모인다면 더이상의 내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건물들이 개혁트리로 인해서 짓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5단계 건물들의 경우 대부분 서로 다른 개혁을 요구 하기 때문에

농업, 산업, 상업중에 선택해서 테크를 올려야 한다.

유비의 경우 촉한 징세소가 초반부터 큰역할을 하기 떄문에 관련 개혁을 올리고

농업쪽의 테크를 열어주는게 가장 효율적이기는 하다.

 

도시내정은 정착지 레벨 4, 5, 7, 8을 꼭 기억해서 건물 부지를 확보하고

국립공방, 토지개발, 여관은 기본 수입을 생성하는 건물이라 반드시 짓고

세력에 따라서 산업, 농업, 상업수입을 극대화 해주는 건물을 짓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식량 수급이 되지 않으면, 정착지를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식량증가를 위해 정부지원을 지어야 한다.

정착지를 대부분 8까지 승급시면 한턴에 1900개의 식량이 소모된다.

 

후반기에 수입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파견을 식량 생산량 증라고 사용하는게 오히려 더 수입이 는다.

 

[태수를 임명하기 좋은 도시 추천]

 

태수를 임명하기 좋은 도시는 지성이 3개 있는 도시 위주로 임명하거나,

구리광산 등 산업수입 도시가 있는 도시, 식량을 늘리기 위해 곡물농장이나 농업시설이 있는 도시를 선택한다.

 

1. 단양(건업) _ 구리광산, 소금광산 (산업수입 극대화 도시) / 감시자태수 추천

2. 파양(파양) _ 구리광산, 철광산 (산업수입 극대화 도시) / 감시자태수 추천

3. 회남(수춘) _ 도구공방(산업), 가축농장(농업), 곡물농장(식량) / 용장, 감시자 추천

4. 장사(장사) _ 차 재배지(상업), 교역항(상업), 갑옷공방 / 책사 추천

5. 창오(광신) _ 가축농장(농업), 대나무농장(농업), 쌀농장(식량) / 용장 추천

6. 건녕(건녕) _ 구리광산, 철광산(산업), 향신료시장(향신료) / 감시자, 책사 추천

7. 촉(성도) _ 소금광산(산업), 갑옷공방, 곡물농장(식량) / 감시자, 용장 추천

8. 강양(강양) _ 구리광산(산업), 소나무농장(농업), 곡물농장(식량) / 감시자, 용장 추천

9. 교지(용편) _ 쌀농장(식량), 소나무농장(농업), 차 지배지(상업) / 지휘관, 용장 추천

10. 안정(안정) _ 곡물농장(식량), 가축농장(농업), 도구공방(산업) / 감시자, 용장 추천

 

이외에 삭방도 3개의 도시를 가지고 있지만, 동물조련사, 말목장으로 수입이랑은 관련이 없다.

2개의 도시를 가지고 있는 도시들도 개혁트리에 따라 건물 업그레이드가 맞는 도시라면

해당도시에 태수를 임명하는게 수입을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

 

내정은 초반에 테크를 잘못타면 50턴 이후부터는 극명한 차이가 난다.

전투를 위주로 플래이하는 유저라면, 건물테크는 컴퓨터가 올리게 하고 도시를 공격하여 뻇고,

종속국으로 만들거나, 교역을 통해서 수입을 늘리는 플래이도 가능하다.

앞서 말한듯이 10만 이상의 수입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5-6만의 수입만 만들어 낸다면, 부대 15개 이상을 운용하는데 문제가 없고

15개의 부대만 운용하더라도 천하통일은 충분히 가능하다.

다만 도시가 1만골드 수입이 있는걸 보고싶다. 천하통일하면 턴골이 얼마나 나오는지 보고싶다하는 유저는

끝까지 개혁을 올리면서 하는 플래이가 가능하다.

각도시에 지어진 건물은 볼드처리 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