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원칙은 있는가*
고사에"강산이개"(江山易改) 본성난개(本性難改)"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 말의 뜻은 "강산은 바꾸기 쉽지만, 본성은 고치기 힘든 것 같다, "는 말입니다, 사람들은 나이 먹을수록 본성이 잇몸처럼 부드러워져야 하는데 이빨처럼 딱딱해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고대 철학자인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 "라는 말을 했을 때 그의 친구들이 "그러는 당신은 자기 자신을 아느냐?"라고 되물었다고 합니다, 그때에 소크라테스의 대답은 "나도 나를 모른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나 자신을 모른다는 것을 알고 있다, "라고 말했습니다, 자신의 부끄러움을 아는 것이 본성을 고치는 수단이 될 수가 있습니다.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을 기록한 책에 보니까 사람들은 다섯 가지를 잘 먹어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1, 음식을 잘 먹어야 한다,
2, 물을 잘 먹어야 한다,
3, 공기를 잘 먹어야 한다,
4, 마음을 잘 먹어야 한다,
5, 나이를 잘 먹어야 한다,
이것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할 것입니다, 사람은 한 살, 한 살 나이가 들어가면서 알아야 되는 것은 삶의 보람과 의미를 찾기보다 존경을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더욱 나는 존경을 받지 못할지언정 욕을 먹지 말아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패션 디자이너 "코코 샤넬"은
"스무 살의 얼굴은 자연의 선물이고, 쉰 살의 얼굴은 당신의 공적이다, "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그렇다면 중년 이후의 얼굴은 그 사람 인생에 대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므로 나이를 잘 먹는다는 것은 정말로 어려운 것입니다, 내가 오늘 하고 싶은 말은 삶에서 큰 업적이나 칭찬보다는 지탄을 받거나 상처를 주지 않는 인생이 더 위대한 삶이라는 것입니다, 무괴아심 (無愧我心)이라는 말은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한다, "는 뜻으로, 남의 허물을 탓하기 전에 먼저 자기 스스로를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무괴아심"은 대학, 중용에 나오는 신독(愼獨)과도 같은 의미가 있는데 "신독"은 홀로 있을 때도 도리에 어그러지지 않게 스스로 삼가는 것을 뜻합니다,
마음을 들춰봐도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멋진 삶입니다, 어스름한 저녁 무렵 물가에 비친 석양도 아름답습니다, 청춘도 아름답다고 하지만 흰머리에 얼굴에 주름 또한 아름답지 않습니까? 손에 쥔 것이 없다고 실패라 생각하지 맙시다, 이 날까지 무탈하게 살 수 있었던 것도 크게 성공한 것입니다, 혹시 나의 소유에 어느 것이든 남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보답을 바라지도 마십시다, 나누어 준 것만으로도 선행을 한 것입니다, 그러나 남에게 받은 것이 있다면 잊지 말고 보답도 하십시다, 그것이 인생에 아름다운 모습일 것입니다.

농작물에 거름을 너무 많이 하면 좋을 것으로 여기지만 결과는 뿌리가 썩습니다, 이런 원리가 또 하나를 말하면 지나치게 맑은 물에는 물고기도 살지 못합니다. 상대가 실수하고, 잘못을 하여도 눈감아 주고, 덮어 두고, 포용해 주십시다, 내가 옳을지라도 너무 강하게 내 주장을 하면 상대는 오히려 반감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나의 삶에 원칙을 세운다면 나눈 것들은 속히 잊어버리고, 받은 것들은 기억하며,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라면 눈을 감을 줄 아시고, 용서하실 줄 아신다면. 세상 살아가는데 적은 없을 것이고 남은 인생의 마무리는 멋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묵상_20241209_겨울이 왔습니다 (54) | 2024.12.09 |
---|---|
오늘의묵상_20241208_천국에서 못 만남 (56) | 2024.12.08 |
오늘의묵상_20241206_남을 생각하는 마음 (54) | 2024.12.06 |
오늘의묵상_20241205_반드시 약속을 지켜라 (58) | 2024.12.05 |
오늘의묵상_20241204_인생의 겨울 (62) | 2024.12.04 |